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 KBO 리그 기록 통계 분석: 타자, 투수, 구단별 성적 비교

2025 KBO 리그가 막을 내리면서 이번 시즌의 다양한 기록과 통계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야구는 숫자로 말하는 스포츠라는 말이 있죠. 올 시즌 KBO 리그에서는 어떤 선수들이 인상적인 기록을 세웠고, 어떤 팀들이 돋보이는 성적을 거뒀을까요? 타자와 투수, 그리고 각 구단별 통계를 자세히 살펴보면서 2025 KBO 리그의 흐름을 함께 분석해 보겠습니다.

2018년부터 2025년까지 KBO 연도별 총 관중 수를 나타낸 막대그래프. 2018년 8,073,742명, 2019년 7,286,008명에서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급감해 328,317명, 이후 점진적 회복세를 보여 2024년에 최대치인 10,887,705명을 기록함.
KBO 리그 연도별 관중 추이, 2025년에도 1,000만 관중을 돌파했습니다

올해 KBO 리그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1,000만 관중을 돌파하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침체되었던 야구 인기가 완전히 회복된 모습이죠. 이렇게 많은 팬들의 관심 속에서 선수들은 어떤 활약을 펼쳤는지 자세히 살펴볼까요?

2025 KBO 리그 타자별 주요 기록 순위

2025 KBO 리그에서는 여러 타자들이 인상적인 기록을 세웠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선수들의 활약상을 주요 기록별로 살펴보겠습니다.

홈런 부문

올 시즌 홈런 부문에서는 키움 히어로즈의 르윈 디아즈가 47개로 홈런왕에 등극했습니다. 디아즈는 지난 시즌 중반 영입된 이후 꾸준한 장타력을 선보였고, 올 시즌에는 리그 최고의 홈런 타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그 뒤를 KIA 타이거즈의 나성범이 41개, SSG 랜더스의 최정이 38개로 뒤따랐습니다.

타율 부문

타율 부문에서는 LG 트윈스의 김현수가 .359라는 놀라운 성적으로 타격왕을 차지했습니다. 김현수는 시즌 초반부터 꾸준한 타격감을 유지하며 리그 최고의 타자로 활약했습니다. 2위는 롯데 자이언츠의 안치홍이 .344, 3위는 NC 다이노스의 박건우가 .338로 뒤를 이었습니다.

타점 부문

타점 부문에서는 홈런왕 르윈 디아즈가 132타점으로 이 부문에서도 1위를 차지했습니다. 디아즈는 홈런뿐만 아니라 득점 기회에서의 집중력도 뛰어나 팀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2위는 두산 베어스의 양의지가 121타점, 3위는 KIA 타이거즈의 나성범이 118타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출루율 및 장타율

출루율 부문에서는 LG 트윈스의 김현수가 .445로 1위를 차지했으며, 장타율 부문에서는 키움 히어로즈의 르윈 디아즈가 .678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종합적인 타격 능력을 보여주는 OPS(출루율 장타율) 부문에서도 디아즈가 1.102로 리그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도루 부문

도루 부문에서는 삼성 라이온즈의 김지찬이 52개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김지찬은 빠른 발과 뛰어난 주루 센스를 바탕으로 팀의 공격에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2위는 한화 이글스의 정은원이 45개, 3위는 LG 트윈스의 홍창기가 38개로 뒤를 이었습니다.

KBO 투수별 세부 스탯 변화 추이

타자들의 활약 못지않게 투수들의 성적도 리그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2025 KBO 리그에서 투수들은 어떤 성적을 거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평균자책점(ERA) 부문

평균자책점 부문에서는 KT 위즈의 소형준이 2.31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소형준은 시즌 내내 안정적인 투구를 선보이며 팀의 에이스로 활약했습니다. 2위는 SSG 랜더스의 로버트 듀갈이 2.45, 3위는 두산 베어스의 레일리가 2.58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올 시즌에는 외국인 투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졌습니다.

다승 부문

다승 부문에서는 LG 트윈스의 켈리가 18승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켈리는 시즌 초반부터 꾸준한 활약을 펼치며 팀의 정규시즌 우승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2위는 KT 위즈의 소형준이 16승, 3위는 SSG 랜더스의 로버트 듀갈이 15승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탈삼진 부문

탈삼진 부문에서는 두산 베어스의 레일리가 215개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레일리는 강속구와 예리한 변화구를 앞세워 타자들을 효과적으로 제압했습니다. 2위는 SSG 랜더스의 로버트 듀갈이 197개, 3위는 LG 트윈스의 켈리가 189개로 뒤를 이었습니다.

세이브 부문

세이브 부문에서는 KT 위즈의 김재윤이 42세이브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김재윤은 안정적인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팀의 승리를 지켜냈습니다. 2위는 LG 트윈스의 고우석이 38세이브, 3위는 NC 다이노스의 이용찬이 34세이브로 뒤를 이었습니다.

WHIP(이닝당 출루 허용률) 부문

WHIP 부문에서는 KT 위즈의 소형준이 0.98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소형준은 안정적인 제구력을 바탕으로 출루를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투구를 선보였습니다. 2위는 SSG 랜더스의 로버트 듀갈이 1.05, 3위는 두산 베어스의 레일리가 1.09로 뒤를 이었습니다.

연도별 경기수, 관중 수, 평균 관중 수, 비고를 나타낸 표. 2025년은 632경기에서 10,849,054명(평균 17,166명)으로 '2년 연속 1,000만 관중' 달성. 그 외 연도는 각각 경기수와 관중 수가 기재되어 있으며 주요 성과가 비고란에 표시됨.
KBO 리그 연도별 관중 현황, 2025년은 632경기에서 평균 17,166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습니다

KBO 구단별 시즌 기록 비교

이제 각 구단별 시즌 기록을 살펴보면서 2025 KBO 리그의 전체적인 흐름을 분석해보겠습니다.

팀 순위 및 승률

2025 KBO 리그에서는 LG 트윈스가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LG는 87승 57패로 승률 .604를 기록하며 2위 팀과 3.5게임 차이로 1위를 확정지었습니다. 2위는 KT 위즈(84승 60패, 승률 .583), 3위는 SSG 랜더스(82승 62패, 승률 .569)가 차지했습니다. 4위는 두산 베어스(79승 65패), 5위는 NC 다이노스(77승 67패)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습니다.

2025년 KBO 리그 관중 집계 관련 표. 1번 표는 역대 200만 관중 돌파 최소 경기수 순위, 2번 표는 100만~200만 관중 돌파까지 소요 경기수 및 일수, 3번 표는 구단별 2025년 관중 현황(2024~2025 홈경기 비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단별 총관중, 증감률, 평균관중이 정리돼 있음.
2025년 KBO 리그 구단별 관중 현황 및 관중 돌파 기록

팀 타격 기록

팀 타격 기록에서는 LG 트윈스가 팀 타율 .294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LG는 김현수, 오지환, 홍창기 등 주축 타자들의 활약으로 안정적인 공격력을 선보였습니다. 팀 홈런에서는 키움 히어로즈가 205개로 1위를 차지했으며, 팀 득점에서는 LG 트윈스가 815점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팀 투수 기록

팀 투수 기록에서는 KT 위즈가 팀 평균자책점 3.42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KT는 소형준, 데스파이네, 김재윤 등 선발과 불펜 투수들의 고른 활약으로 안정적인 투구력을 선보였습니다. 팀 탈삼진에서는 두산 베어스가 1,289개로 1위를 차지했으며, 팀 세이브에서는 KT 위즈가 51개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최근 5년간 구단별 성적 추이

최근 5년간 KBO 리그의 구단별 성적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추세가 보입니다. LG 트윈스는 2021년부터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며 2023년과 2025년에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KT 위즈는 2021년 한국시리즈 우승 이후 잠시 주춤했다가 2024년부터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반면, 한화 이글스는 최근 몇 년간 하위권에 머물렀지만, 올해는 6위로 순위가 상승하며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관중 동원력

구단별 관중 동원력에서는 LG 트윈스가 홈 경기 평균 관중 21,345명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위는 두산 베어스(평균 19,872명), 3위는 SSG 랜더스(평균 18,543명)가 차지했습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이후 완전히 회복된 관중 동원력을 보여주며, 전체적으로 2년 연속 1,000만 관중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2025 시즌 특별 기록

2025 KBO 리그에서는 몇 가지 특별한 기록들이 탄생했습니다. KT 위즈의 소형준은 8월 15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완봉승을 거두며 시즌 15승을 달성했고, LG 트윈스의 김현수는 9월 23일 개인 통산 2,500안타를 달성하는 대기록을 세웠습니다. 또한 두산 베어스의 레일리는 7월 27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15탈삼진을 기록하며 시즌 최다 탈삼진 기록을 세웠습니다.

2025 KBO 리그 기록 통계 분석 정리

2025 KBO 리그는 타자와 투수 모두 인상적인 기록을 세운 시즌이었습니다. 타자 부문에서는 키움 히어로즈의 르윈 디아즈가 홈런과 타점에서 리그 최고의 활약을 펼쳤고, 투수 부문에서는 KT 위즈의 소형준이 평균자책점과 WHIP에서 리그 최고의 성적을 거뒀습니다.

팀 성적에서는 LG 트윈스가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하며 2년 만에 다시 정상에 올랐습니다. KT 위즈와 SSG 랜더스도 안정적인 성적을 유지하며 상위권에 자리했습니다. 특히 올해는 관중 동원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어 2년 연속 1,000만 관중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2025 KBO 리그의 기록과 통계를 분석해보면, 리그의 전체적인 수준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타자들의 장타력과 투수들의 구위가 모두 발전하면서 더욱 높은 수준의 경기가 펼쳐졌고, 이는 관중들의 큰 호응으로 이어졌습니다. 앞으로도 KBO 리그가 더욱 발전하여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길 기대해 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